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포켓몬 스칼렛 바이올렛] S3 마스터볼 등반 파티 공개! / 싱글배틀 파티 추천

포켓몬/포켓몬 스칼렛 바이올렛

by cashcat 2023. 2. 3. 10:55

본문

728x90
반응형

안녕세요!

이번에는 포켓몬스터 스칼렛 바이올렛 S3 마스터볼 등반 파티를 공개하려고 합니다.

저번에 진행되던 S1, S2에서는 일반 포켓몬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번부터 진행되는 시즌에서는 패러독스이 출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패러독스몬 샘플이 시즌 초기라 많이 참고 정보가 많이 없어서 S3 싱글배틀 마스터볼 등반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참고용으로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등반에 성공 했을 때 승률은 6승 2패인데 마스터볼 등반 직전 일격기가 한방에 당하는 운짤을 당해버려서... (마음속으로는 승률 100%로 등반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마스터볼 등반에 사용된 샘플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별로 한마리씩 소개하겠습니다.

 

1. 고동치는달

개체값 : 특수공격 제외 5V or 6V

노력치 : A252, S252. B4

성격 : 명랑

테라타입 : 비행

특성 : 고대활성
도구 : 부스트에너지

기술 : 지진(땅), 애크러뱃(비행), 용의춤(드래곤), 역린(드래곤)

설명 : 빠른 고대활성을 위해서 부스트에너지를 채용했으며 처음에는 스피드를 보강하는 형태로 사용했지만 스피드를 보강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어서 공격을 극대화한 형태입니다. 보통 지진과 깨물어부수기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현재 메타에 좀 보이는 무쇠독나방이나 무쇠손을 고려해서 지진을 채용했습니다.

 

2. 날개치는머리

개체값 : 공격 제외 5V or 6V

노력치 : C252, S252. B4

성격 : 겁쟁이

테라타입 : 페어리

특성 : 고대활성
도구 : 구애안경

기술 : 문포스(페어리), 에너지볼(풀), 섀도볼(고스트), 파워잼(바위)

설명 : 기합의띠와 구애안경 중 구애안경을 선택했는데 기존 강력한 데미지와 높은 스피드를 살려서 결정력을 높이기 위해 구애안경을 채용했습니다. 생각보다 형태가 안읽혀서 수월하게 사용했습니다. 파워잼은 고동치는달 견제, 에너지볼은 어써러셔 견제용으로 채용했습니다.

 

3. 무쇠보따리

개체값 : 공격 제외 5V or 6V

노력치 : C252, S252. B4

성격 : 조심

테라타입 : 불꽃

특성 : 쿼크차지
도구 : 기합의띠

기술 : 프리즈드라이(얼음), 하이드로펌프(물), 테라버스트(노말 or 불꽃), 퀵턴(물) 

설명 : 안정적인 기술 사용을 위해서 기합의띠를 채용했으며 스피드가 빨라서 주로 선공으로 공격이 가능합니다. 퀵턴 같은 경우 빠른 스피드를 이용해서 유리 대면으로 만들기 위해서 채용했으며 불꽃 테라를 선택한 이유는 약점상쇄의 이유가 크며 테라스탈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4. 어써러셔

개체값 : 특수공격 제외 5V or 6V

노력치 : H252, B252. D4

성격 : 장난꾸러기

테라타입 : 강철

특성 : 천진
도구 : 먹다남은음식

기술 : 하품(노말), 지진(땅), 땅가르기(땅), 아쿠아브레이크(물)

설명 : 물리막이 포켓몬으로 채용했으며 고동치는달 같이 물리딜러들을 막으면서 기점을 만들기 위해서 채용했습니다. 강철테라를 사용한 이유는 기존 약점으로부터 방어하려는 목적이 큽니다.

 

5. 망나뇽

개체값 : 특수공격 제외 5V or 6V

노력치 : H196, A60. B4, D4, S244

성격 : 장난꾸러기

테라타입 : 비행

특성 : 멀티스케일
도구 : 울퉁불퉁멧

기술 : 날개쉬기(비행), 지진(땅), 테라버스트(노말 or 비행), 용의춤(드래곤)

설명 : 망나뇽은 S1, S2에 이어서 S3에서도 배틀에서 거의 무조건 보이는 포켓몬 중 하나입니다. 내구에 조정이 좀 되어있어서 용의춤으로 기점을 만들면서 울퉁불퉁멧으로 접촉기 포켓몬들을 견제하기 좋습니다.

 

6. 무쇠독나방

개체값 : 공격 제외 5V or 6V

노력치 : C252, S252, H4

성격 : 겁쟁이

테라타입 : 풀

특성 : 쿼크차지
도구 : 생명의구슬

기술 : 불꽃춤(불꽃), 에너지볼(풀), 매지컬샤인(페어리), 오물웨이브(독)

설명 : 풀테라로 설정한 이유는 기존 약점을 상쇄하기 위해서 결정을 했습니다. 워낙 데미지가 높고 기술의 범용성이 넓어서 스위퍼로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이번에는 제 S3 마스터볼 등반 파티 샘플을 소개했습니다. 마스터볼 등반에 참고하시고 마스터볼 등반 꼭 하시길 바랍니다!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