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포켓몬 스칼렛 바이올렛 사천왕, 챔피언 공략 및 분석 / 사용 포켓몬, 기술 등 알아보기

포켓몬/포켓몬 스칼렛 바이올렛

by cashcat 2022. 11. 21. 23:54

본문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포켓몬스터 9세대 사천왕과 챔피언 공략 및 분석을 해보려고 합니다.

미리 공략을 확인하면 필요한 포켓몬을 미리 준비하여 배틀에 참여할 수 있고 의미 없는 육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면 포켓몬스터 스칼렛, 바이올렛의 사천왕과 챔피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천왕은 칠리입니다.

타입을 전문으로 다루는 사천왕입니다.

사용 포켓몬은 아래와 같습니다.

 

초반에 메더가 나오기 때문에 풀타입 포켓몬을 선발로 내는 것이 유리하며 메더를 쓰러뜨린 후에는 폭타, 코리갑, 닥트리오는 타입 포켓몬으로 상대를 해주면 쉽게 쓰러뜨리기 좋습니다. 마지막 포켓몬인 토오는 특성이 저수로 물타입 기술을 무효로 받기 때문에 토오를 잡을 때는 메더를 잡아냈던 풀타입 포켓몬을 내도 좋습니다. 독기술이 맹독뿐이라 풀타입을 사용해도 무난하게 상대하기 좋습니다.

 

두 번째 사천왕은 뽀삐입니다.

강철타입을 전문으로 다루는 사천왕입니다.

사용 포켓몬은 아래와 같습니다.

초반에는 땅타입 포켓몬이나 땅타입 기술을 가지고 있는 포켓몬을 꺼내서 대왕끼리동을 잡아주면 배틀에 유리합니다.

자포코일도 대왕끼리동과 마찬가지로 땅타입으로 상대를 하면 쉽게 잡아낼 수 있습니다.

동탁군과 아머까오는 땅타입이 통하지 않고 불꽃타입으로 상대를 해주는 방법이 있고 동탁군은 악타입, 아머까오는 전기로 상대를 하는 방법이 있는데 동탁군의 경우는 불꽃타입을 찌를 수 있는 기술이 있어서 한 번에 잡아낼 수 있는 불꽃타입을 가지고 가는 것이 아니면 배틀이 좀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두드리짱의 경우 땅타입 포켓몬으로 처리하는 것이 제일 안전하게 상대를 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사천왕은 청목입니다.

비행타입을 전문으로 다루는 사천왕입니다.

사용 포켓몬은 아래와 같습니다.

강력한 얼음타입이 있다면 매우 쉽게 클리어 가능합니다. 애매한 능력치를 가진 얼음타입 포켓몬의 경우에는 파비코리부터 꼬이밍고를 상대 할 때 한번에 잡아내지 못하면 화염방사나 인파이트로 치명상을 입을 수 있어서 불리하게 게임이 흘러갈 수 있습니다. 아니면 얼음타입 포켓몬을 선발로 내고 찌르호크, 꼬이밍고는 전기타입으로 상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네 번째 사천왕은 팔자크입니다.

드래곤타입을 전문으로 다루는 사천왕입니다.

사용 포켓몬은 아래와 같습니다.

팔자크의 경우에도 청목과 배틀 할 때와 같이 얼음타입 포켓몬을 잘 사용하면 쉽게 클리어 할 수 있습니다. 엑스라이즈가 암석봉인과 아이언헤드 있어서 엑스라이즈를 조심한다면 드닐레이브를 제외한 나머지 포켓몬은 쉽게 상대할 수 있습니다. 드닐레이브 같은 경우도 얼음타입 기술을 가지고 있는 포켓몬의 능력치가 좋다면 쉽게 클리어 가능하고 깨트리기만 조심한다면 얼음타입만으로 쉽게 상대 할 수 있습니다.

 

앞선 사천왕을 모두 쓰러뜨리면 팔데아지방 챔피언인 테사와 배틀을 하게 됩니다.

테사의 사용 포켓몬은 아래와 같습니다.

테사는 선출로 클레스퍼트라를 내보냅니다. 벌레타입을 잘 사용하면 클레스퍼트라부터 고고트, 가비루사를 매우 쉽게 이겨낼 수 있습니다. 나머지 포켓몬인 크레베이스와 대도각참, 킬라플로르는 격투타입으로 쉽게 이겨낼 수 있습니다. 크레베이스의 경우에는 격투타입을 찌를 만한 기술이 없어서 무난하게 승리가 가능한데 대도각참과 킬라플로르는 격투타입 포켓몬을 찌르는 기술을 가지고 있어서 땅타입을 가지고 가면 쉽게 클리어하기 좋습니다.

 

이것으로 이번에는 팔데아지방 사천왕과 챔피언의 공략과 사용 포켓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실상 타입 상성만 잘 이해하고 파티를 구축하면 매우 쉽게 공략이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9세대 포켓몬리그는 비교적 난이도가 쉽다고 느껴진 부분도 많습니다.

여러분들도 선출 포켓몬을 잘 확인한다면 누구나 쉽게 클리어 가능합니다.

많이 부족한 글이지만 여러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